기초전자기학 5판 > 대학 교재

본문 바로가기
배경
검색창 열기
물리

기초전자기학 5판

본문

책소개

전자기학은 역학, 양자역학, 열통계역학과 함께 학부 물리학전공 교육과정의 네 기둥을 이루는 과목으로 그 비중이 양자역학과 거의 같다고 생각한다

(역학 2, 전자기학 3, 양자역학 3, 열통계역학 2). 전자기현상은 나날이 보는 거의 모든 자연현상의 배경이며, 전자기학을 공부할 때 익히는 개념

과 수학적 기법은 고급과정의 물리학에서 꼭 필요하고, 공학에서도 폭 넓게 쓰인다.

그렇지만, 전자기학은 벡터 미적분, 복소수, 미분방정식, 특수함수 등 계속 나오는 고급 수학의 어려움과 전기장, 자기장, 전하, 전류, 전기쌍극자, 자기쌍극자, 

그리고 맨 끝에는 특수 상대성이론까지 나오는 내용의 복잡함이 뒤엉켜 배울 때 애를 먹는다. 또 많은 전자기학 교재들이 개념적 이해를 위한 설명 보다는

수학적 기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배울 때 힘들고 재미도 없으며, 배운 뒤에도 그 큰 줄거리가 명확히 떠오르기 않아 결국 자신이 없어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어려움을 생각하면 설명을 더 치밀하게 하고, 예제 풀이, 문제의 선택과 배열을 더 세심하게 해야 한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및 확산을 생각하면 문제 풀이에 컴퓨터를 쓰는 기법도 익힐 계기를 마련해주는 것이 좋다.

이 책은 그러한 점이 잘 반영되어 이번 개정판에는 컴퓨터를 써서 푸는 초보적인 문제가 추가되었다.

목차

제 1 장 벡터해석 1

1.1 벡터대수 1

1.1.1 벡터연산 1

1.1.2 벡터대수 : 성분 형식 5

1.1.3 삼중곱 8

1.1.4 위치, 변위, 분리 벡터 9

1.1.5 벡터 변환규칙 11

1.2 미분 14

1.2.1 “상” 미분 14

1.2.2 기울기 15

1.2.3 연산자 17

1.2.4 발산 18

1.2.5 회전 20

1.2.6 곱셈규칙 22

1.2.7 2계 도함수 24

1.3 적분 27

1.3.1 선, 면, 부피 적분 27

1.3.2 미적분의 기본 정리 31

1.3.3 기울기의 기본정리 32

1.3.4 발산의 기본정리 35

1.3.5 회전의 기본정리 37

1.3.6 부분적분 40

1.4 곡선 좌표계 42

1.4.1 구 좌표계 42

1.4.2 원통좌표계 47

1.5 디랙 델타함수 49

1.5.1 의 발산 49

1.5.2 1차원 디랙 델타함수 50

1.5.3 3차원 델타함수 54

1.6 벡터장 이론 57

1.6.1 헬름홀츠 정리 57

1.6.2 전위(전기적 위치 에너지) 58

제 2 장 정전기학 65

2.1 정전기장 65

2.1.1 서론 65

2.1.2 쿨롱 법칙 66

2.1.3 전기장 67

2.1.4 연속 전하분포 69

2.2 정전기장의 발산과 회전 73

2.2.1 장선과 가우스 법칙 73

2.2.2 E 의 발산 77

2.2.3 가우스 법칙의 응용 78

2.2.4 E 의 회전 84

2.3 전위 86

2.3.1 서론 86

2.3.2 전위에 대해 덧붙이는 말 88

2.3.3 푸아송 방정식과 라플라스 방정식 91

2.3.4 국소 전하분포에 대한 전위 92

2.3.5 경계조건 96

2.4 정전기학에서의 일과 에너지 100

2.4.1 전하를 옮기느라 한 일 100

2.4.2 점전하 분포의 에너지 101

2.4.3 연속 전하 분포의 에너지 103

2.4.4 정전기 에너지에 대해 덧붙이는 말 105

2.5 도체 107

2.5.1 기본성질 107

2.5.2 유도전하 109

2.5.3 도체 위의 면전하와 그것이 받는 힘 112

2.5.4 축전기 114

제 3 장 전위 127

3.1 라플라스 방정식 127

3.1.1 서론 127

3.1.2 1차원 라플라스 방정식 128

3.1.3 2차원 라플라스 방정식 129

3.1.4 3차원 라플라스 방정식 131

3.1.5 경계조건과 유일성 정리 133

3.1.6 도체와 제 2 유일성 정리 135

3.2 영상법 138

3.2.1 전형적인 영상문제 138

3.2.2 표면에 유도된 전하 140

3.2.3 힘과 에너지 141

3.2.4 그 밖의 영상문제 142

3.3 변수 분리법 145

3.3.1 직각좌표계 145

3.3.2 구좌표계 155

3.4 다중극 전개 165

3.4.1 먼 곳의 전위의 근사식 165

3.4.2 홀극항과 쌍극자항 169

3.4.3 다중극 전개에서 좌표계의 원점 172

3.4.4 쌍극자가 만드는 전기장 173

제 4 장 물질 속의 정전기장 185

4.1 편극밀도 185

4.1.1 유전체 185

4.1.2 유도된 쌍극자 185

4.1.3 극성분자의 정렬 189

4.1.4 편극밀도 191

4.2 편극된 물체가 만드는 전기장 192

4.2.1 속박전하 192

4.2.2 속박전하에 관한 물리적 해석 195

4.2.3 미시적 장과 거시적 장 199

4.3 대체 전기장 201

4.3.1 유전체가 있을 때의 가우스 법칙 201

4.3.2 잘못 알기 쉬운 비슷함 204

4.3.3 경계조건 205

4.3.4 결정의 애매함 206

4.4 선형 유전체 207

4.4.1 감수율, 유전율, 유전상수 207

4.4.2 선형 유전체가 있는 경계값 문제 214

4.4.3 유전체 계의 에너지 220

4.4.4 유전체가 받는 힘 224

제 5 장 정자기학 233

5.1 로런츠 힘 법칙 233

5.1.1 자기장 233

5.1.2 자기력 235

5.1.3 전류 239

5.2 비오-사바르 법칙 247

5.2.1 정상전류 247

5.2.2 정상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248

5.3 B의 발산과 회전 253

5.3.1 직선전류 253

5.3.2 B의 발산과 회전 255

5.3.3 앙페르 법칙 257

5.3.4 정자기학과 정전기학의 비교 265

5.4 자기 벡터 전위 269

5.4.1 벡터 전위 269

5.4.2 경계조건 277

5.4.3 벡터 전위의 다중극 전개 279

제 6 장 물질 속의 자기장 297

6.1 자화밀도 297

6.1.1 반자성체, 상자성체, 강자성체 297

6.1.2 자기 쌍극자가 받는 회전력과 힘 298

6.1.3 자기장이 원자 궤도에 미치는 영향 302

6.1.4 자화밀도 304

6.2 자화된 물체가 만드는 자기장 305

6.2.1 속박전류 305

6.2.2 속박전류의 물리적인 뜻 309

6.2.3 물질 속의 자기장 311

6.3 보조장 H 311

6.3.1 자성체 속에서의 앙페르 법칙 311

6.3.2 잘못 알기 쉬운 비슷함 315

6.3.3 경계조건 315

6.4 선형 및 비선형 물질 316

6.4.1 자기 감수율과 투자율 316

6.4.2 강자성체 320

제 7 장 전기역학 329

7.1 기전력 329

7.1.1 옴 법칙 329

7.1.2 기전력 336

7.1.3 운동 기전력 339

7.2 전자기 유도 348

7.2.1 패러데이 법칙 348

7.2.2 유도된 전기장 353

7.2.3 인덕턴스 358

7.2.4 자기장 속의 에너지 365

7.3 맥스웰 방정식 370

7.3.1 맥스웰 이전의 전기역학 370

7.3.2 맥스웰이 앙페르 법칙을 고친 방법 372

7.3.3 맥스웰 방정식 376

7.3.4 자하 377

7.3.5 물질 속의 맥스웰 방정식 379

7.3.6 경계조건 382

7.4 회전 자석이 만드는 자기장 384

제 8 장 보존법칙 399

8.1 전하와 에너지 399

8.1.1 연속방정식 399

8.1.2 포인팅 정리 400

8.2 운동량 405

8.2.1 전기역학에서의 뉴턴 제 3 법칙 405

8.2.2 맥스웰 변형력 텐서 406

8.2.3 운동량 보존 411

8.2.4 각운동량 415

8.3 자기력은 일을 하지 않는다 419

제 9 장 전자기파 431

9.1 일차원 파동 431

9.1.1 파동 방정식 431

9.1.2 사인파 434

9.1.3 경계조건: 반사와 투과 438

9.1.4 편광 442

9.2 진공에서의 전자기파 444

9.2.1 E와 B에 대한 파동 방정식 444

9.2.2 단색 평면파 445

9.2.3 전자기파의 에너지와 운동량 449

9.3 물질 속에서의 전자기파 452

9.3.1 선형매질 속에서의 전파 452

9.3.2 수직 입사파의 반사와 투과 454

9.3.3 비스듬히 입사한 파의 반사와 투과 457

9.4 흡수와 분산 464

9.4.1 도체 속에서의 전자기파 464

9.4.2 도체 표면에서의 반사 468

9.4.3 유전율의 진동수에 대한 변화 470

9.5 도파 478

9.5.1 도파관 478

9.5.2 네모꼴 도파관에서의 TE파 481

9.5.3 동축 전송선 484

제 10 장 전위와 전자기장 491

10.1 전위 형식 491

10.1.1 스칼라와 벡터 전위 491

10.1.2 게이지 변환 494

10.1.3 쿨롱 게이지와 로렌츠 게이지 496

10.1.4 전위로 나타낸 로런츠 힘 법칙 498

10.2 연속 분포 500

10.2.1 지연 전위 500

10.2.2 제피멩코 방정식 506

10.3 점전하 508

10.3.1 리에나르-비케르트 전위 508

10.3.2 움직이는 점전하가 만드는 전자기장 514

제 11 장 전자기파 방사 527

11.1 쌍극자 방사 527

11.1.1 전자기파는 무엇인가? 527

11.1.2 전기 쌍극자 방사 528

11.1.3 자기 쌍극자의 전자기파 방사 535

11.1.4 임의의 원천에서 나오는 전자기파 539

11.2 점전하의 방사 일률 545

11.2.1 라모 공식 545

11.2.2 리에나르 공식 548

11.3 방사 반작용 551

11.3.1 아브라함-로런츠 공식 552

11.3.2 전하를 띤 입자가 받는 자체힘 557

제 12 장 전자기학과 상대론 569

12.1 특수 상대성 이론 569

12.1.1 아인슈타인 가설 569

12.1.2 상대론의 기하학 575

12.1.3 로런츠 변환식 586

12.1.4 시공간의 구조 592

12.2 상대론적 역학 600

12.2.1 고유시간과 고유속도 600

12.2.2 상대론적 에너지와 운동량 603

12.2.3 상대론적 운동학 605

12.2.4 상대론적 동역학 610

12.3 상대론적 전자기학 619

12.3.1 자성: 상대론적 현상 619

12.3.2 장의 변환 622

12.3.3 장 텐서 632

12.3.4 텐서로 쓴 전기 동역학 634

12.3.5 상대론적 전위 639

부록

부록 A 곡선 좌표계에서의 벡터 미적분 645

A.1 서론 645

A.2 기호 645

A.3 기울기 연산자 646

A.4 발산 연산자 647

A.5 회전 연산자 650

A.6 라플라스 연산자 653

부록 B 헬름홀츠 정리 655

부록 C 단위계 659

찾아보기 663

저 자
소 개

지은이 데이비드 제이 그리피스(David J. Griffiths)

미국 오리건주 리드칼리지에서 30년 넘게 물리학을 가르쳤으며 현재는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하버드대학교에서 학

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입자 이론)했다. 집필한 양자 역학, 전자기학, 입자 물리학 관련 교재는 학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

으며, 보다 쉬운 수준의 교재로 Revolutions in Twentieth-Century Physics(Cambridge, 2012)를 출간하여 학문 대중화

에 힘쓰고 있다.


옮긴이 김진승

전북대학교 물리학과에서 39년간 물리학을 가르쳤으며,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한국과학원에서 석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박사학위(광학 이론 및 실험)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광산란, 광계측 그리고 물리교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