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실 탐구공동체 > 대학 교재

본문 바로가기
배경
검색창 열기
과학교육

과학교실 탐구공동체

본문

책소개

이 책은 크게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1장에서는 학교 과학 교육의 장에서도 탐구공동체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탐구공동체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탐구공동체의 정의와 관련된 의문을 던진 후, 퍼스의 탐구와 공동체에 대한 관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퍼스의 탐구공동체 이론과 일면 맥이 닿아 있는 듀이의 탐구와 공동체에 대한 관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탐구공동체의 정의와 그 특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학교 과학 교육의 장에서 탐구공동체의 구현을 지향하는 한 모습으로 과학교실 탐구공동체를 제안하고, “자연 현상이나 사물과 관련하여 진정한 의심의 상태를 믿음의 상태로 바꾸는 것을 목적으로, 참여자로서 목적을 공유한 구성원들이 실제적 효과에 대한 관찰과 오류가능성을 견지하면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최선의 설명과 해결책에 이르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교실 공동체”라는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정의와 목적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4가지 주요 탐구 과정과 4개 범주로 구성된 총 7가지 토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구현을 위한 준비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2개 과학교실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의미와 시사점을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이어서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과학교실 실태 분석을 위해 인식 조사 도구 개발 결과와 해당 도구를 사용해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그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실 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해 고려해야할 5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1장부터 4장까지의 논의 사항을 요약하고,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구현을 위해 어떠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고 어떠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교실 탐구공동체는 아직 시작 단계에 있으며, 추후 학교 교육의 장에서 실제로 구현하고자 하는 시도와 그에 대한 경험적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서 필자가 나름대로의 노력은 하였으나, 역량의 한계로 책의 곳곳에 부족함과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독자들의 아낌없는 조언을 부탁드린다. 추후 연구들의 결과와 독자들의 조언을 양분삼아, 언젠가는 이 책의 부족한 부분을 조금 더 보완한 후속편을 내놓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CHAPTER 1 왜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인가? _ 1


CHAPTER 2 탐구공동체 _ 13

1. 탐구공동체의 정의를 위한 고민 13

2. 퍼스의 탐구와 공동체에 대한 관점 14

2.1 퍼스의 탐구에 대한 관점 14

2.2 퍼스의 공동체에 대한 관점 43

3. 듀이의 탐구와 공동체에 대한 관점 51

3.1 듀이의 탐구에 대한 관점 51

3.2 듀이의 공동체에 대한 관점 69

4. 탐구공동체의 재정의 및 특징 73


CHAPTER 3 과학교실 탐구공동체 _ 79

1. 탐구공동체에서 과학교실 탐구공동체로 79

2.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정의와 목적 85

2.1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정의 85

2.2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목적 87

3.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탐구 과정 92

3.1 개요 92

3.2 단계별 탐구 과정: 문제인식, 가설설정, 가설검증, 문제해결 94

3.3 종합 118

4.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토대 123

4.1 탐구실행 의지 123

4.2 탐구수행 태도 135

4.3 의사소통 구조: 개방성 146

4.4 공유 154


CHAPTER 4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구현을 위한 준비 _ 181

1.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과학교실 사례 181

1.1 개요 181

1.2 ‘과학교실 1’ 사례 분석 188

1.3 ‘과학교실 2’ 사례 분석 207

2. 과학교실 탐구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과학교실 실태 227

2.1 실태 분석의 목적과 필요성 227

2.2 연구 방법 228

2.3 인식 조사 도구 개발 및 적용 결과 229

3. 과학교실 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한 고려 사항들 251

3.1 이상한 현상에 직면하여 시작하는 끊임없는 탐구: 학생의 전형적인식상황 고려와 개별 차시 맥락화 251

3.2 탐구자의 변화 및 공동체와의 관계 변화 반추: 평가 방법의 다양화 264

3.3 엄격성 및 오류가능성의 견지: 개방성, 정직, 그리고 용기의 중시 267

3.4 충분한 물리적 환경: 예상하기와 연결하기 271

3.5 탐구자로서 교사: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실천 273


CHAPTER 5 마치면서: 새로운 시작을 위해 _ 277

저 자
소 개

정용재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초등교육으로 학사 학위를 마쳤으며, 서울대학교에서 과학교육(물리전공)으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공동체적 접근의 과학교육, 탐구공동체, 가설설정과 귀추법, 초등물리교육 및 교사교육 등이 주된 연구 관심 분야이다.